반응형
동남아는 높은 기온·습도, 위생 수준 차이, 풍토병(모기 매개 질환 등) 때문에 한국 내 여행보다 상비약 준비가 훨씬 중요합니다.
✅ ① 필수 기본약
- 해열·진통제 (타이레놀, 이부프로펜)
- 더위로 인한 탈수·열감기 대비
- 여행 중 근육통, 두통, 치통
- 소화제
- 한국 음식과 다른 향신료·기름진 음식 소화불량 대비
- 위산억제제, 가스 제거제
- 지사제 (로페라마이드)
- ‘물갈이’ 설사 대비
- 해외 위생환경이 익숙하지 않을 때 필수
- 프로바이오틱스 (유산균제)
- 장 건강 유지
- 설사 예방적 복용
- 멀미약 (메클리진, 디멘히드리네이트)
- 배편, 차량 장거리 이동
✅ ② 감염·위생 대비
- 항생제 연고 (퓨시드산, 무피로신)
- 상처 감염 예방
- 소독제 (포비돈 요오드, 알콜스왑)
- 상처, 벌레물린 부위 살균
- 밴드/거즈/붕대/테이프
- 다치거나 물집 대비
- 손소독제 (에탄올 젤)
- 현지 물 부족, 공공장소 위생 관리
- 살균 물티슈
- 식당 테이블, 손세척 대체
- 일회용 장갑
- 상처 치료 시
✅ ③ 벌레·모기 대비 (동남아 핵심!)
- 모기 기피제 (DEET, 이카리딘 포함)
- 뎅기열, 지카, 말라리아 위험 지역 필수
- 피부 직접 분사용, 의류용 스프레이 준비
- 벌레물림 연고 (항히스타민제 포함)
- 심한 가려움, 염증 완화
- 스테로이드 연고(저용량)
- 심한 알레르기성 발진
- 방충망/모기장 (휴대용)
- 저가 숙소 이용 시 추천
- 벌레 기피 패치
- 아이 동반 시 부착형도 유용
✅ ④ 열·자외선 대비
- 자외선 차단제 (SPF 50+)
- 강렬한 적도 햇빛
- 물·땀 저항(워터프루프)
- 화상연고
- 햇볕 화상 응급처치
- 선스틱/미니 용량
- 이동 중 수시 덧바름
- 모자, 양산
- 물리적 차단
✅ ⑤ 개인 맞춤 약품
- 평소 복용하는 처방약
- 고혈압, 당뇨, 정신과 약 → 영문처방전 지참
- 위염약/위산억제제
- 현지 향신료 강한 음식 대응
- 항히스타민제(먹는 약)
- 갑작스러운 피부 알러지
- 진경제
- 생리통, 복통
- 안약/렌즈 세척액
- 먼지 많은 도시·오토바이 이용 대비
✅ ⑥ 위생·식수 대비
- 살균정제
- 수도물 음용 불가 지역 대비
- 병물 사용 권장, 단 장기 트레킹 시 필수
- 전해질 보충제/이온음료 가루
- 탈수 예방
- 더위로 땀 많이 흘릴 때
- 구강청결제(작은 휴대용)
- 위생 상태 나쁜 숙소·식당
✅ ⑦ 응급 키트 추천 구성
아래 구성으로 간단한 파우치에 포장
✅ 상처/소독
- 알콜스왑
- 포비돈 소독제
- 밴드(여러 크기)
- 거즈/테이프
- 항생제 연고
✅ 감염·소화
- 해열진통제
- 지사제
- 유산균
- 소화제
- 멀미약
✅ 벌레·피부
- 모기 기피제
- 벌레물림 연고
- 항히스타민제
- 자외선차단제
- 화상연고
✅ 개인
- 평소 복용약
- 비염 스프레이
- 위염약
- 안약
✅ 위생
- 손소독제
- 살균 물티슈
- 살균정제
✅ 보조도구
- 핀셋
- 작은 가위
- 체온계
- 면봉
- 일회용 장갑
✅ 추가 여행 팁
⭐️ 동남아는 지역별 감염병이 상이하니 출국 전 아래도 확인하세요
- 말라리아 예방약 (말라리아 고위험 지역 방문 시 → 병원에서 처방)
- 일본뇌염 예방접종 (장기 체류, 농촌 방문 시 권장)
- A형간염, 장티푸스 예방접종 (위생 불량 국가 방문 시 권장)
⭐️ 처방약, 주사약 반입 시
- 영문 진단서/처방전 지참
- 기내 반입 시 약 이름이 보이는 원포장 상태 유지
⭐️ 액체류 기내 규정
- 100ml 이하 용기에 담아 투명 지퍼백
반응형